조선시대 무관의 관모로,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들어 전립(氈笠), 모립(毛笠)이라고도 한다. 모옥은 그릇을
엎어놓은 모양으로, 모정이 둥글며 둘레에는 양태(凉太)를 대었다. 모정의 장식물은 계급에 따라 달랐다.
계급이 높은 무관은 공작미, 삭모, 정자 등으로 꾸미고 안은 남색 단으로 하였다. 밀화영(蜜花纓)으로 전립
끈을 하였다. 이렇게 장식이 많은 것을 안올림 벙거지라고 하고, 하졸이 사용한 장식이 거의 없는 전립은
벙거지, 벙테기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