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체: 한인전(漢印篆)
사용자: 미상
인장은 사용자의 신분이나 신용을 나타낸다. 조선왕조의 인장은 국새나 관인 등 국가업무용 인장, 왕과 왕비의 존업성을 상징하던 어보(御寶)를 비롯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던 사인(私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인은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묵장”은 ‘장서(藏書)가 많은 집’을 의미한다. 중국 청(淸) 문인 이조원(李調元, 1734~1803)의 호도 묵장(墨藏)이다. 그는 조선의 문사들과 많은 교유가 있었다.
서체: 한인전(漢印篆)
사용자: 미상
인장은 사용자의 신분이나 신용을 나타낸다. 조선왕조의 인장은 국새나 관인 등 국가업무용 인장, 왕과 왕비의 존업성을 상징하던 어보(御寶)를 비롯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던 사인(私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인은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묵장”은 ‘장서(藏書)가 많은 집’을 의미한다. 중국 청(淸) 문인 이조원(李調元, 1734~1803)의 호도 묵장(墨藏)이다. 그는 조선의 문사들과 많은 교유가 있었다.
세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