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담인복식미술관
신 鞋履 Shoes
한국의 신은 크게 북방 기마 유목 민족의 신에서 유래된 목이 긴 ‘화靴’와 남방 농경 문화권에서 발달한 운두가 낮은 ‘리履’로 나뉜다. 우리나라 신에 대한 문헌기록은 고대에서부터 나타난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東夷전에는 부여에서 가죽신을, 마한에서는 짚으로 만든 신을 신었다는 기록이 있다. 고구려의 신은 고분벽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신분과 성별에 상관없이 화와 리를 착용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화靴’는 주로 사대부 남자들이 관복官服과 융복戎服에 착용하는 신으로 정착되었고, ‘리履’는 보통 ‘혜鞋’로 불리며 남녀 모두 일상복에 신었다. 이러한 신발은 의복과는 달리 주로 전문적인 장인匠人에 의해 제작되어 그 정교한 모양새에서 숙련된 솜씨를 엿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시대 관복에 착용하는 목화木靴, 제혜祭鞋와 같은 예복용 신발과 상류계층에서 가죽과 비단으로 만들어 평소에 신었던 태사혜, 당혜와 운혜, 진땅에 신었던 기름먹인 유혜油鞋와 나무를 깎아 만든 나막신, 서민의 대표적인 신이었던 짚신 등 다채롭게 발달한 전통 신발을 선보인다. 차림새를 완성하였던 신발을 통해 선조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에 대하여 보다 깊이 이해하고, 우리 복식服飾의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예복용 신 靴子·祭鞋
목화木靴는 관복官服 차림에 신었던 신이다. 고려시대에는 공복公服에 화를 갖춰 신게 되었고 조선시대에도 공복과 상복常服에 화를 신었다. 조선시대 문헌에는 흑피화黑皮靴, 협금화挾金靴, 수화자水靴子 같은 다양한 명칭의 화가 등장하는데, 착용자의 신분에 맞춰 다양한 재료와 형태의 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상國喪 때에는 흰색 단령을 입고 백화白靴를 신었다. 제혜祭鞋는 종묘사직에 제사를 지낼 때 제관들이 제복祭服 차림에 신었던 의례용 신이다.
제혜 祭鞋 제혜 祭鞋(1901/191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제혜 祭鞋
1901 - 1910
제혜祭鞋는 청색 계열의 융이나 모직, 비단을 사용하여 신울을 감싸고 입구는 백녹피로 둘렀다. 앞코에 백녹피로 굵은 선을 덧댄 유물도 있으며, 코실을 여러 줄 끼워 장식한 것이 특징으로 마치 주름을 잡아 놓은 것처럼 보인다. 양 옆과 뒤축에 고리를 달고 끈을 끼워 신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였다.
목화 木靴(1801/190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목화 木靴
1801 - 1900
겉은 짙은 청색, 안은 소색 면직물을 사용한 목화이다. 흰색 가죽으로 신목 입구를 두르고 그 아래 옅은 청색으로 금衿을 달았다. 얇게 댄 밑창은 앞 코까지 둥글게 말려 올라왔다. 앞 중심에는 끈을 끼웠던 구멍이 남아 있다.
남자용 혜 男鞋
혜鞋는 운두가 낮은 신을 이르는 것으로 재료나 장식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구분되며 성별과 신분에 따라 달리 신었다. 태사혜太史鞋는 대표적인 남자용 마른신으로 비단으로 신울을 감싼 고급신이다. 앞코와 뒤축에 신울과 다른 색으로 줄무늬선太史紋을 장식하였다. 녹색이나 옥색으로 신울을 하고 홍색이나 남색으로 장식을 한 것은 젊은 층에서 착용하였다. 흑혜黑鞋는 검은 가죽이나 우단, 모직 등으로 만든 신으로 일상복에는 물론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는 조복과 제복에 착용하는 신으로 규정하고 있다. 사슴가죽으로 만든 녹피혜鹿皮鞋는 대체로 장식 없이 깔끔하게 만들었으며, 주로 반가에서 노년층이 신었다.
흑혜 黑鞋(1801/190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흑혜 黑鞋
1801 - 1900
검은색 우단으로 만든 남자용 신으로 모양은 태사혜와 동일하다. 입구와 내피, 근피 모두 흰색 가죽으로 하였으며, 안창에도 융이나 담을 깔지 않아 흰색 가죽이 그대로 보인다. 앞코는 코실 두 가닥으로, 뒤축은 흰색 가죽으로 마무리하였다. 밑창에는 앞뒤로 일곱 개씩 징을 박았다.
태사혜 太史鞋 태사혜 太史鞋(1901/194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태사혜 太史鞋
1901 - 1940
신울은 미색 문단紋緞으로 하고 자주색 비단으로 태사문을 만들어 장식하였다. 윗변과 아랫변도 회장回粧과 같은 색으로 덧대었고, 입구와 내피, 근피 모두 흰색 가죽을 사용하였다. 앞코는 두 가닥의 코실로, 뒤축은 칙실 대신 흰색 가죽을 덧대 마무리 하였다. 안창에는 담毯을 깔았고, 밑창에는 앞뒤로 징을 둘러 박았다.
태사혜 太史鞋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여자용 혜 女鞋
당혜唐鞋는 태사혜와 유사하게 앞코와 뒤축에 당초문의 회장回粧을 장식하였다. 운혜雲鞋는 앞·뒤 마구리를 신울과 다른 색으로 장식하고 앞코와 뒤축에 각각 죽엽과 굼벵이라 불리는 장식을 붙여 마무리했다. 이러한 당혜와 운혜는 여자용 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문헌기록에는 남자들이 착용한 사례도 많이 나타난다. 여자용 흑혜는 회장 장식이 없는 외코신 형태이며, 방한용으로 안창에 융이나 담을 깔은 온혜溫鞋도 있다.
운혜 雲鞋 운혜 雲鞋(1901/194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운혜 雲鞋
1901 - 1940
신울은 ‘東一鞋店’이라는 상호가 날염된 녹색 화접문단으로 하고 앞·뒤 마구리는 홍색 비단을 사용하여 장식하였다. 죽엽과 굼벵이는 남색으로 하였다. 입구와 근피는 흰색 가죽으로 하고, 내피와 안창은 융을 사용하였다. 밑창에는 앞뒤로 징을 박아 주었다.
운혜 雲鞋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당혜 唐鞋 당혜 唐鞋(1801/190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당혜 唐鞋
1801 - 1900
신울은 홍색 화문단花紋緞으로 하고 녹색 비단을 사용하여 당초문과 윗변, 아랫변을 장식하였다. 앞코는 코실 두 가닥으로, 뒤축은 흰색 가죽으로 마감하였다. 뒤축에 장식한 당초문은 보통의 당혜와 달리 뾰족하게 각을 내어 독특하다. 입구와 내피, 근피, 안창 모두 흰색 가죽으로 마무리하였다. 밑창에는 앞뒤로 징을 박아 주었다.
나막신 木屐 · 유혜 油鞋
나막신은 나무를 깎아 만든 신으로 비가 오는 날이나 진땅에서 신었다. 맑은 날에 신기도 하였는데, 특히 가난한 선비들이 즐겨 신었다고 한다. 원래 판자 모양에 굽이 달린 형태였으나, 조선 중기 이후 신발의 모습인 혜鞋의 형태로 정착되었다. 남자용 나막신은 태사혜와 비슷한 형태가 많았고, 여자용은 남자의 것에 비해 신코가 좁고 코끝이 솟은 형태로 만들었다. 소나무, 피나무, 밤나무 등 다양한 목재가 사용되었다. 유혜油鞋는 비가 오거나 땅이 질척할 때 신던 신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가죽에 들기름을 먹여 만들어 유혜라고 하였다. 진땅에 신어 ‘진신’, 밑창에 징을 박아 ‘징신’이라고도 하였다.
혜 鞋(1801/190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혜 鞋
1801 - 1900
일반 신과는 달리 신코가 넓적하고 신울이 높으며, 신 허리 부근에서 가죽을 이어 붙여 신코와 뒤축에 솔기가 따로 없다. 얇게 자른 가죽끈으로 신울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바느질하여 고정시켰다. 크기가 일반 신보다 커서 화靴에 덧신는 투혜로 추정된다.
유혜 油鞋 유혜 油鞋(1901/194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유혜 油鞋
1901 - 1940
당혜唐鞋 모양의 여자용 유혜이다. 신코가 들려 있으며, 신울과 당초문唐草紋에 쓰인 가죽이 모두 어두운 색상으로 단아한 느낌을 준다. 신 바닥에는 징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유혜 油鞋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나막신 木屐(1801/190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나막신 木屐
1801 - 1900
피나무로 만든 나막신이다. 옻칠에 붉은 염료를 섞은 주칠朱漆을 해서 붉은 빛을 띠며, 광택이 난다. 신코에서부터 옆면까지 길게 두 줄의 선을 음각陰刻하였다.
나막신 木屐(1801/190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나막신 木屐
1801 - 1900
어린이가 신던 소나무로 만든 나막신이다. 굽이 낮으며, 신코에 꽃을 조각하여 아기자기하게 장식하였다.
초혜 草鞋
초혜草鞋는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풀을 엮어 만든 신이다. 삼한 시대에 ‘草履초리’를 신었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역사가 오랜 신이다. 재료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짚을 주재료로 한 짚신이 대표적이다. 짚신은 서민이 주로 착용하였으며, 삼麻을 넣어 곱게 짠 초혜를 미투리라고 하는데 조밀하게 신총을 세우고 섬세하게 엮어 선비들이나 여인들이 맑은 날 신었다. 또 왕골, 닥나무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었으며, 한지를 꼬아 만든 지총미투리, 가죽으로 만든 가죽미투리 등이 있었다.
초혜 草鞋 초혜 草鞋(1901/194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초혜 草鞋
1901 - 1940
신바닥에 네 날을 놓은 짚신이다. 뒷갱기는 닥나무로 보강하였으며, 돌기총 부분에 신발끈과 같은 신들매를 만들어 신이 쉽게 벗겨지지 않게 하였다. 신골인 앞골, 뒷골, 쐐기가 그대로 남아 있다.
초혜 草鞋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초혜 草鞋
1801 - 1900
왕골을 써서 네 날로 곱게 짠 신이다. 고정 줄에 나뭇가지를 덧대고 신총을 감아 튼튼하며, 앞·뒤갱기에는 피나무를 감았다. 신바닥의 중간에는 붉은색과 초록색의 선을 한 줄씩 넣어 장식하였다.
초혜 草鞋 초혜 草鞋(1801/190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제작도구 制鞋工具
신발을 만드는 장인匠人은 재료 손질에서 마름질, 바느질, 문양 넣기 등 여러 과정에 걸쳐 다양한 재료와 연장을 사용하였다. 재료에는 여러 종류의 가죽과 비단, 두꺼운 광목이나 베를 여러 겹 풀로 붙인 백비가 기본 재료로 쓰였고, 실이 사용되었다. 연장에는 신의 원형이 되는 신본, 칼, 신을 꿰매는 송곳과 바늘, 그리고 풀과 아교를 끓이거나 인두를 달구는 화로가 있었다. 신을 만든 다음에는 신의 형태를 잡아주는 신골을 넣었는데, 신골은 앞골과 뒷골 그리고 쐐기로 구성되었으며, 이 신골을 칠 때에는 망치가 이용되었다.
신골 楥(1901/194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신골 楥
1901 - 1940
신의 모양을 잡기 위해 넣던 신골이며, 뒷부분은 사람의 발목처럼 90도로 꺾어 만들었다. 심 위에 끈을 감아 만들었다.
신골 楥(1901/1940)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신골 楥
1901 - 1940
신골은 신을 만든 다음, 신의 모양을 잡고 형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 기간 박아두는 도구이다. 신골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발 모양대로 나무를 깎아 만들었다.
담인복식미술관
이화여자대학교 담인복식미술관梨花女子大學校 澹人服飾美術館은 1999년 5월 31일 본교 의류학과 장숙환張淑煥 교수의 개인 소장품 5,000여 점을 기증받아 개관하였다. 기증품은 장숙환 교수의 어머니 담인澹人 장부덕張富德(1908-1967)님의 유품이 기초가 되었고 이후 장교수에 의해 40년여 동안 수집된 것으로 그 모친의 뜻을 기리고자 ‘담인복식미술관’이라 명명하게 되었다. 기증품은 조선시대의 남녀의 장신구가 주를 이루며 이밖에 의복·수예품·목공소품·가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유물은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없었던 조선시대 왕실과 사대부 계층에서 사용되었던 것이 대부분으로 그 당시 상류 사회의 세련되고 우아한 미의식이 배어있어 미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다.
기획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담인복식미술관
총괄 장숙환
전시진행 곽경희, 송수진, 김정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