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영친왕비 무문주 중단

20세기 초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서울, 대한민국

면복 차림을 할 때 겉옷인 의 밑에 받쳐 입는 옷이다. 홑겹으로 만들어[단의(單衣)] 겉옷과 속옷 사이에 입는 옷[중의(中衣)]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백색 중단의 가장자리에는 청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아(亞)’자 형의 불문(黻紋)을그렸다. 불문의 개수는 황제가 12개, 황태자와 왕이 11개, 왕세자가 9개, 왕세손이 7개이다. 현존하는 면복 중단은 푸른색 계열의 옷감으로 지어졌는데 이는 조선 후기에 가례(嘉禮)용 중단에 청색을 사용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중단의 안감에 "대례복 적의하중(大禮服 翟衣下重)"이라 적힌 한지가 실로 고정되어 있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영친왕비 무문주 중단
  • 제작연도: 20세기 초
  • 권리: 국립고궁박물관
  • 재료: 의상
국립고궁박물관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