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묘를 지키는 장군의 형상을 한 석인으로 갑옷을 입고 칼을 찬 모습이 근엄하고 당당하다. 문인석은 문관(文官, 머리에는 관모를 쓰고 손에는 홀을 가지고 있음)을, 장군석은 무인(武人)을 상징한다. 무덤 주위에 문인석, 장군석(=무인석), 석수, 12지 신상을 배치하는 풍습은 중국의 전한시대(前漢代: 서기전 206-서기 24)부터 시작되었고, 우리나라는 당나라의 능묘제도를 받아들인 통일신라시대부터 왕릉에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고려 시대에 이르면 장군석은 사라지고 문인석 한 쌍만이 배치되다가 고려 말기인 14세기 중엽의 충목왕릉부터 다시 문인석과 장군석이 함께 배치되기 시작하였다. 14세기 말의 공민왕릉에는 문인석과 장군석을 한 쌍식 세우고, 돌사자와 함께 돌양이 무덤주위에 배치되었다. 그 후, 조선시대에도 문인석과 장군석은 계속하여 무덤 앞에 배치되었지만, 점차 조각수법이 퇴화하고 형식화되었다. 시대에 따른 문인석·장군석의 조각양식의 변화는 능묘제도의 변천과 함께 우리나라 조각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