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King Jeongjo own Composition for advice to Jaechan Kim, Calligraphic Works by Himself

조선 정조Joseon, 1785 (Year 9 of Jeongjo)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성남시, 대한민국

Jeongjo’s seven-word line poem to the previous magistrate Jaechan Kim who was appointed to the higher position of Seongcheonbusa in 1785 (year 9 of Jeongjo). It is also found in 『Hongjaejeonseo』. A red peony and blue silk that appear in the first paragraph, line four symbolize night duty at the palace. In the second paragraph line three and four, he borrowed an old phrase from Wang Huiji of Jin dynasty. When Wang was asked by his boss how the work was, he rested his chin on the scepter and wackily said, “the west mountain refreshes me every morning.” By citing this phrase, Jeongjo asked him not to develop a taste for the arts and be negligent to his work. The stamp has Hongjae and Mangiji written on it. * Text and annotation 成都伯錢席口占  /  Recited in a farewell party of sending Seongdobaek 分淸方可近煙霞  /  One’s duty must be pure to enjoy mountain and water 峽裏官居淨似家 / Cleanness of official life in the mountain valley must be like a house. 紅藥靑綾多宿債  /  As we are indebted to red peonies and blue silk 好敎留看一年花  /  Stay there for a year and enjoy the bloom.  翩翩五馬出西頻 / Five running horses go out to the west often 一府三年兩閣臣  /  In three years, two officials go to one province. 笏外樓臺饒爽塏  /  Although there will be many open spaces outside scepter,  風流倘不妨治民/  Don’t make the art and music disturb the duty of governing the people.  乙巳 夏  /  Year Eulsa (1785, year 9 of Jeongjo), Summer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King Jeongjo own Composition for advice to Jaechan Kim, Calligraphic Works by Himself
  • 제작자 출생/사망 날짜: 1776/1800
  • 제작자 국적: Korean (Joseon)
  • 제작자 출생 장소: Changgyeongpalace, Seoul, South Korea
  • 제작자 성별: male
  • 제작자 사망 장소: Changgyeongpalace, Seoul, South Korea
  • 날짜: Joseon, 1785 (Year 9 of Jeongjo)
  • 현재 위치: Jangseogak, Academy of Korean Studies, Seongnam-si, Gyeonggi-do, Rep. Korea
  • 크기: w121 x h55 cm
  • 전체 구성: 1 sheet
  • 글과 글씨: Jeongjo (King of Joseon)
  • original title: Jeongjo eoje eopil <Seongdo beakjeonsuk gujeom> (정조어제어필 <성도백전석구점>, 正祖御製御筆 <成都伯錢席口占>)
  • korean caption: 1785년(정조 9) 정조가 성천부사(成川府使)로 부임하는 원임직각(原任直閣) 김재찬(金載瓚)에게 써 준 7언 절구. 『홍재전서(弘齋全書)』에도 실려 있다. 제 1수 3연에 나오는 홍약(紅藥, 붉은 작약)과 청릉(靑綾, 푸른 비단)은 대궐 숙직을 말한다. 제 2수 3 • 4구에서 진(晉)의 왕휘지(王徽之)가 직무에 대해 상관이 묻자 홀(笏)로 턱을 괴고서 엉뚱하게 “서산(西山)이 아침으로 상쾌한 기분이 들게 한다.”고 말한 고사를 들어 풍류를 좋아하여 책무를 소홀히 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인장은 홍재(弘齋)와 만기지가(萬機之暇)가 찍혀 있다. * 본문 및 해석 成都伯錢席口占 / 성도백(成都伯)을 전별하는 자리에서 입으로 읊음 分淸方可近煙霞 / 본분이 청결해야 산수를 가까이 할 수 있는데 峽裏官居淨似家 / 산골짜기에 관청생활 맑기가 집 같으리. 紅藥靑綾多宿債 / 홍약(紅藥)과 청릉(靑綾)에 대하여 묵은 빚이 많으니 好敎留看一年花 / 거기 머물러 일 년의 꽃을 잘 보고 오게나. 翩翩五馬出西頻 / 달리는 오마가 자주 서쪽을 나가니 一府三年兩閣臣 / 삼 년 동안 한 부(府)에 두 각신이 나간다네. 笏外樓臺饒爽塏 / 홀(笏) 밖의 누대들은 탁 트인 곳 많으려니와 風流倘不妨治民/ 풍류가 혹시라도 치민에 방해되진 말게 하게. 乙巳 夏 / 을사년(1785, 정조 9) 여름
  • 출처: Academy of Korean Studies
  • 작품유형: Manuscript
  • 권리: Academy of Korean Studies
한국학중앙연구원

추가 항목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공연 예술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