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용 하의 중 가장 대표적인 옷이다. 옷감의 폭을 이어 붙이고 잔주름을 잡아 허리를 하고 여기
에 양 끝에 끈이 달린 치마허리를 달아 가슴 앞에서 여미어 입는다. 상고시대부터 착용하였고, 고려 이전에
는 상(裳), 군(裙)으로 표기되었다. 삼국시대에는 색동치마도 착용하였고, 치마단에 덧단을 대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오늘날의 치마 형태를 갖추었다. 예복용에는 대란치마와 스란치마, 전행웃치마가 있고, 일상용
으로는 홑·누비·겹치마 등이 있다.
치마는 저고리 길이와 반비례하여 길이가 달라졌다. 조선 초기에 허리에 입던 치마가 조선 후기에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면서 길어지고, 치마도 가슴에 올려 입게 되었다. 하류층 여성은 일반인의 치마보다 폭도 좁
고 길이가 짧은 두루치를 입기도 하였다. 개화기 때는 길이가 짧은 치마와 뒤를 막은 통치마도 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