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자격루(自擊漏)

조선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서울, 대한민국

조선시대 왕의 중용한 임무 가운데 하나는 백성들에게 정확한 시각을 알려 주는 것이었다. 왕은 백성들에게 일어날 시각과 일할 시간, 쉬는 시간 등을 알려 주어 일상생활의 리듬을 규제하고 통제함으로써 사회생활의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계는 권위와 질서의 상징이었고 통치의 수단이었다.

옛날에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주로 해시계와 물시계를 이용하였다. 해시계는 해 그림자로 태양의 위치를 파악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낮에만 사용할 수 있으나, 물시계는 물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으로 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24시간 작동이 가능하였다.

조선 세종 때에는 삼국시대부터 이용하던 물시계의 시각 알림 장치를 자동화하고 '스스로 치는 시계'라는 뜻으로 자격루를 제작하였다. 세종 임금의 명으로 장영실이 완성하였으며, 1434년 경회루 남쪽 보루각(報漏閣)이라는 전각에 걸치하여 국가의 표준시계로 삼았다.
이 시계는 도성의 성문을 열고 닫는 인정[(人定), 통행금지 시각, 밤 10시경]과 파루[(罷漏), 통금해제 시각, 새벽 4시경)], 오정[(午正), 낮 12시)]을 알려 주는 데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 사람들에게 아침 · 점심 · 저녁 때를 알려 주어 생활의 리듬을 잡아 주는 등 조선시대 사람들의 표준 시계가 되었다. 자격루의 시각을 알려 주는 인형이 치는 종소리와 북소리를 듣고 이를 신호로 광화문과 종루에서 북과 종을 쳐서 시각을 알렸으며, 이에 따라 궁궐의 문과 서울의 도성문인 숭례문(崇禮門), 흥인문(興仁門), 돈의문(敦義門)이 열리고 닫혔다.

자격루는 보루각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보루각루(報漏閣漏), 임금이 거처하는 대궐에 있다고 하여 금루(禁漏), 스스로 시간을 알리는 궁궐 시계라 하여 자격궁루(自擊宮漏)라는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다. 세종 때의 자격루는 그대로 보존되지 못하고 1536년(중중 31)에 다시 만들어졌는데 그 일부인 물항아리[파수호(播水壺), 수수호(受水壺)]가 현재까지 남아있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자격루(自擊漏)
  • 제작연도: 조선
  • 권리: 국립고궁박물관
  • 재료: 과학기기
국립고궁박물관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Nature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