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체: 한인전(漢印篆)
사용자: 전(傳) 문팽
인장은 사용자의 신분이나 신용을 나타낸다. 조선왕조의 인장은 국새나 관인 등 국가업무용 인장, 왕과 왕비의 존업성을 상징하던 어보(御寶)를 비롯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던 사인(私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인은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문팽(文彭, 1498~1573)은 중국 명(明) 중기의 문인 서화가로 문인화가 문징명(文徵明, 1470~1559)의 장남이다. 자는 수승(壽承), 호는 삼교(三橋)이며, 국자감 박사를 지내 문국박이라고 불렸다. 문팽은 인장이 전각예술로 승화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그는 칼로 새기기 쉬운 화유석(花乳石)을 인장 재질로 본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때부터 문인들이 직접 인장을 새겨 자신의 심미관을 표현하게 되었다. 문팽은 당시 인풍에 대해 비판하며 한나라 인장의 예스러움을 따를 것을 주장하며 인장의 이론적 기초를 마려했다. 또한 인장의 옆면에 제작 기록이나 시문의 내용을 새기는 방각(傍刻)이라는 새로운 전통을 만들었다. 현존하는 문팽의 인장은 그 수가 적어 가치가 매우 높으나, 명성이 대단했던 만큼 그의 서체를 모방한 위작이 많이 전한다.
"남양제갈려 서촉자운정 공자운 하루지유"는 '남양 제갈량의 초가집이나 서촉 양자운의 정자와 같네, 공자께서도 (군자가 머문다면) 어찌 누추함이 있겠는가 하셨다네'라는 뜻이다. 《논어(論語)》 〈子罕〉편을 재인용한 구절로, 비록 보잘 것 없는 누실(陋室)이라도 공자와 같은 성인은 그것을 불평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제갈량(諸葛亮)이나 양자운(揚子雲) 모두 초년에는 가난했던 사람들이다.
서체: 한인전(漢印篆)
사용자: 전(傳) 문팽
인장은 사용자의 신분이나 신용을 나타낸다. 조선왕조의 인장은 국새나 관인 등 국가업무용 인장, 왕과 왕비의 존업성을 상징하던 어보(御寶)를 비롯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던 사인(私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인은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문팽(文彭, 1498~1573)은 중국 명(明) 중기의 문인 서화가로 문인화가 문징명(文徵明, 1470~1559)의 장남이다. 자는 수승(壽承), 호는 삼교(三橋)이며, 국자감 박사를 지내 문국박이라고 불렸다. 문팽은 인장이 전각예술로 승화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그는 칼로 새기기 쉬운 화유석(花乳石)을 인장 재질로 본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때부터 문인들이 직접 인장을 새겨 자신의 심미관을 표현하게 되었다. 문팽은 당시 인풍에 대해 비판하며 한나라 인장의 예스러움을 따를 것을 주장하며 인장의 이론적 기초를 마려했다. 또한 인장의 옆면에 제작 기록이나 시문의 내용을 새기는 방각(傍刻)이라는 새로운 전통을 만들었다. 현존하는 문팽의 인장은 그 수가 적어 가치가 매우 높으나, 명성이 대단했던 만큼 그의 서체를 모방한 위작이 많이 전한다.
"남양제갈려 서촉자운정 공자운 하루지유"는 '남양 제갈량의 초가집이나 서촉 양자운의 정자와 같네, 공자께서도 (군자가 머문다면) 어찌 누추함이 있겠는가 하셨다네'라는 뜻이다. 《논어(論語)》 〈子罕〉편을 재인용한 구절로, 비록 보잘 것 없는 누실(陋室)이라도 공자와 같은 성인은 그것을 불평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제갈량(諸葛亮)이나 양자운(揚子雲) 모두 초년에는 가난했던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