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순조 연간에 도화서 화원들이 동궐東闕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 및 궁궐전경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궁궐배치도이다. 모두 16폭으로 되어 있으며 1폭은 상하 6면으로 접혀져 있는데 원래 첩자帖子 형태인 것을 전체크기 가로 584.0cm, 세로275.0cm에 이르는 대작의 16폭 병풍으로 만든 것이다. 동궐도는 동아대학교 박물관뿐만 아니라 고려대학교 박물관에도 소장되어 있는데,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동궐도는 첩자 형태이며 표지에「 東闕圖人」이란 표제가 있어 본래는 천天·지地·인人의 삼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이 동궐도는 비단바탕에 먹과 채색을 사용하였고, 각종 시설물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평행사선구도와 부감법俯瞰法을 결합하여 세밀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궁궐주위의 산과 언덕들은 남종화풍南宗畵風의 준법皴法으로 그려졌으나 건물의 표현과 원근처리 등에는 서양화법의 영향도 엿보인다. 제작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순조실록純祖實錄』과『궁궐지宮闕誌』 등의 문헌에 나타난 건물과 관련지어 고찰해보면 약 1826년에서 1831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이 동궐도는 화려하고 장엄했던 옛 궁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 전각들의 명칭이 자세히 나타나 있다. 그리고 『궁궐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여 화재 등으로 소실된 궁궐들을 복원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준다. 이 작품은 당시의 화풍을 알 수 있는 회화사 연구 자료일 뿐만 아니라 건축·조경·과학기술사·궁궐사 등 각 분야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