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대표적인 여성 문인으로 유명한 신사임당申師任堂(1504~1551)
초충도란 ‘풀과 벌레를 그린 그림’이라는 뜻입니다. 우리의 옛 그림 중에 꽃과 새, 동물 등을 주제로 한 그림은 다양한 소재들 속에 담긴 부귀富貴, 장수長壽, 다산多産 등을 기원하는 길상적 의미가 강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변의 동식물들을 묘사하며 누구나 염원하는 ‘자손번창’, ‘풍요’, ‘장수’, ‘출세’ 등을 상징하는 것이죠.
전 신사임당의 화훼초충도 花卉草蟲圖(조선 16세기)국립중앙박물관
이 중 신사임당의 초충도에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다양한 동식물들이 등장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쇠똥벌레, 방아개비, 나방, 벌, 개구리, 잠자리, 개미 등과 같은 곤충과 동물에서부터, 오이, 가지, 수박과 같은 채소류, 그리고 맨드라미, 도라지꽃, 봉선화, 원추리, 패랭이꽃, 나팔꽃 등과 같은 우리의 땅에서 나고 자라는 꽃과 풀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신사임당의 초충도들은 보통 8~10 장면들이 병풍이나 첩帖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한 장면 안에 여러 동식물들이 함께 어우러져 등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림들에서 우리에게 익숙한 다양한 동식물들을 찾아볼까요?
전 신사임당의 화훼초충도 花卉草蟲圖(조선 16세기)국립중앙박물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수박과 들쥐’ 장면을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에는 수박뿐만 아니라 패랭이꽃, 나비, 나방, 들쥐 등이 등장하는데요. 이러한 그림 속 동식물들은 예로부터 길상吉祥, 즉 좋은 일이 있기를 바라는 염원의 뜻을 담고 있답니다.
예를 들어 수박이나 포도와 같이 넝쿨에 얽혀 자라는 식물은 자손이 덩굴처럼 무럭무럭 번창하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또 이 그림처럼 씨가 많은 수박을 쥐가 갉아 먹은 부분 역시 자손 번창을 기원하는 것이죠.
패랭이꽃은 검은 머리 즉 청춘을 뜻하며,
나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즐거움과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신사임당은 우리에게는 율곡 이이李珥(1536~1584)의 어머니로 더 유명하지만, 그녀는 어릴 적부터 시와 글씨, 그림에 재능이 있었고 살아계셨던 때에는 산수화를 잘 그리는 것으로 명성이 높았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옛 기록들에 따르면 신사임당은 초충도와 포도그림도 잘 그렸다고 하는데요. 그림을 감상했던 자들은 “꽃과 채소들을 종류마다 자세히 그리고 벌레와 나비들의 동작은 입신의 경지에 들어서 생동감이 넘친다”며 그녀의 뛰어난 묘사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전 신사임당의 화훼초충도 花卉草蟲圖(조선 16세기)국립중앙박물관
조선왕실에서도 사임당의 초충도 병풍을 모사하여 궁중에 보관했을 정도로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조선 후기 화가 겸재 정선도 신사임당의 영향을 받은 초충도를 남겼을 정도로, 그녀는 살아있을 때보다도 훗날 많은 명성을 떨쳤던 분입니다.
전 신사임당의 화훼초충도 花卉草蟲圖(조선 16세기)국립중앙박물관
신사임당은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들을 범상하게 여기지 않고 자신의 작품에서 과감하게 묘사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흔히 볼 수 있는 들풀과 들꽃들, 우리에게 별로 호감을 주지 못하는 벌레나 동물들을 표현하였죠. 이처럼 신사임당 부인과 같이 자연에 대한 친근함, 사물에 대해 남달리 애정을 가지고, 이를 통해 인간이 더불어 살아가는 순리와 정을 느끼고 표현하는 점을 배워보는 건 어떨까요?
구글과 함께하는 반짝 박물관 (Google Arts & Culture Pop-up Lab)
‘반짝’거리는 생각을 담아 ‘반짝’하며 나타난 이곳은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이 구글 아트 앤 컬처가 함께 만든 디지털 체험 공간입니다. 세상에는 가보고 싶은 수많은 문화유산들이 있습니다. 반짝 박물관에서는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어디서건 세계 곳곳의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보여줍니다.
구글이 어린이들만을 위해 디지털 체험 공간을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문화가 기술을 만나 꿈이 현실이 된 이곳에서 새로운 상상을 마음껏 해보시기 바랍니다. 언젠가 또 현실이 될지 모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