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시루밑

작자미상한국/광복이후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Seoul, 대한민국

곡물이나 떡을 찔 때에 시루의 바닥에 까는 주방용구로 ‘증(甑)’, ‘시루
방석’이라고도 한다. 시루에는 뜨거운 김이 올라오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시루 안쪽 바닥에 시루밑을 깔아 쌀이나 떡가
루 등이 구멍을 통해 새는 것을 막는 용도로 사용한다. 시루밑은 시루 사
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형태는 일반적으로 원형인데 이는 시루 바닥
의 모양이 둥글기 때문이다. 재질로는 짚이나 한지, 삼껍질, 칡덩쿨이나
대나무 껍질 등 섬유질이 많고 질긴 재료를 이용한다. 이러한 재료들을
엮어 중심에 기본을 잡아 원을 그리듯이 밖으로 짜나가는 방식으로 만
든다. 장방형의 나무판을 十자로 교차시키고 윗면에 홈을 파서 파여진
홈을 따라 대쪽을 나선형으로 돌린 것도 있다. 특히 솥에서 올라오는 수
증기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도록 엉성하게 짜는 것이 특징이다. 보관할
때에는 벽에 걸어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용하지 않을 때 벽에 걸어 두
면 제 무게에 의해서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뒤틀리기도 하고, 말아서
두면 쉽게 펴지지 않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엮을 때 가느
다란 대오리를 몇 군데 둥글게 대어 함께 엮기도 한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시루밑
  • 제작자: 작자미상
  • 제작연도: 한국/광복이후
  • 위치: Korea
  • 크기: 지름 39 높이 6.3
  • 작품유형: 식/취사/조리도구/시루밑
  • 재료: 나무/대나무
국립민속박물관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패션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