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소주고리

작자미상한국/광복이후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Seoul, 대한민국

소주를 만드는 증류기로 제주도에서는 ‘소주고수리’라고 부른다. 허리가
잘록한 눈사람같이 생긴 그릇의 위, 아래, 중간이 모두 뚫어졌으며, 허리
위에 긴 코같은 대롱이 달려있다. 크기는 대략 40-60cm 정도의 높이이
며, 큰 것은 아랫부분에 두 개의 손잡이가 달려있다. 뚜껑은 놋대야나 무
쇠 솥뚜껑을 이용하였다. 솥뚜껑인 경우에는 손잡이가 밑으로 가게 덮
는다. 술의 재료를 솥 안에 넣고 그 솥 위에 이 소주고리를 올려놓고 끓
이면 그 증기가 솥뚜껑이나 대야 밑에 서린다. 이때 그 위에 찬물을 부
으면 증류되어진 소주가 대롱을 통해 흘러내리게 된다. 이 찬물(냉각수)
은 자주 갈아 부어야 한다. 증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솥과 소주고리와
뚜껑과의 틈새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메운다.
대개 오지로 만들지만 간혹 구리나 놋쇠로 만든 것도 있다. 구리나 놋
쇠 제품은 위아래가 따로 분리되게 만들어졌으나, 오지제품은 한데 붙
여 만든 것이 대부분이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소주고리
  • 제작자: 작자미상
  • 제작연도: 한국/광복이후
  • 위치: Korea
  • 크기: 입지름 28 바닥지름 29 높이 30
  • 작품유형: 식/가공/일반가공/소주고리
  • 재료: 토제
국립민속박물관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음식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