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군복용 용흉배본 군복용 용흉배본

조선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서울, 대한민국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의 전복(戰服) 흉배에 자수를 놓거나 금사(金絲)로 직조할 때 사용하던 종이본이다. 흉배본에 그려진 용의 발톱 수는 왕이 5개, 왕세자가 4개로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전복 가슴에 부착하는 흉배는 다른 것과는 달리 반원형 2개가 모여 원형을 이루는 형태이다. 이는 전복 앞중심에 있는 트임으로 인해 원형의 가슴흉배를 세로로 나누어 제작했기 때문이다.

전복(戰服)의 가슴과 등에 부착하는 흉배 2장, 어깨에 부착하는 견화 2장으로 총 4장의 본이 한 벌을 이룬다. 기름을 먹인 사각형 종이에 화주(火珠)를 가지고 구름 사이를 노니는 사조룡(四爪龍)과 그 아래로 파도와 바위가 묵선으로 그려져 있다. 파도와 바위에는 서각(犀角) · 서보(書寶) · 전보(錢寶) 등의 보문(寶紋)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양쪽 어깨본의 앞면에 '견화'라는 묵서가 있다.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의 전복(戰服) 흉배에 자수를 놓거나 금사(金絲)로 직조할 때 사용하던 종이본이다. 흉배본에 그려진 용의 발톱 수는 왕이 5개, 왕세자가 4개로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전복 가슴에 부착하는 흉배는 다른 것과는 달리 반원형 2개가 모여 원형을 이루는 형태이다. 이는 전복 앞중심에 있는 트임으로 인해 원형의 가슴흉배를 세로로 나누어 제작했기 때문이다.

전복(戰服)의 가슴과 등에 부착하는 흉배 2장, 어깨에 부착하는 견화 2장으로 총 4장의 본이 한 벌을 이룬다. 기름을 먹인 사각형 종이에 화주(火珠)를 가지고 구름 사이를 노니는 사조룡(四爪龍)과 그 아래로 파도와 바위가 묵선으로 그려져 있다. 파도와 바위에는 서각(犀角) · 서보(書寶) · 전보(錢寶) 등의 보문(寶紋)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양쪽 어깨본의 앞면에 '견화'라는 묵서가 있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군복용 용흉배본 군복용 용흉배본
  • 제작연도: 조선, 조선
  • 권리: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 재료: 피지초직, 피지초직
국립고궁박물관

추가 항목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