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일월오봉도병풍

19세기 말~20세기 초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서울, 대한민국

일월오봉도는 조선 왕실 회화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주제의 그림으로서 왕의 권위와 존엄을 상징하는 동시에 왕조가 영구히 지속되리라는 뜻을 나타낸다. 왕이 임어하는 곳에는 실내외를 막론하고 어좌(御座) 뒤에 일월오봉도를 배치했다. 그뿐 아니라 왕이 서거했을 때 신주를 모셔 두는 장소와, 왕의 초상화인 어진(御眞)을 봉안하는 공간에도 일월오봉도를 설치하였다. 현존하는 일월오봉도의 종류에는 4폭 · 6폭 · 8폭 등의 일반적인 병풍 형태와 별도의 받침대에 끼워서 세우는 삽병(揷屛) 형태로 된 것, 네 짝이 한 조를 이루는 창호(窓戶)에 그려진 것 등이 있다.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와 기본적인 구도 면에서는 대부분의 일월오봉도가 동일한 양상을 보이지만 세부 묘사 방식과 경물의 위치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청 · 홍 · 녹 · 백 · 흑색의 선명한 단청 안료가 사용되었다. 정전에 설치된 일월오봉도병풍에 대한 기록은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1805), 《중화전영건도감의궤中和殿營建都監儀軌》(1907)와 같은 궁궐 건축 관련 의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일월오봉도병풍은 산 표면의 질감이 섬세하게 표현되었으며, 정중앙의 산봉우리와 양 옆의 산봉우리 사이에 물줄기를 배치한 점은 다른 일월오봉도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일월오봉도병풍마다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의 위치가 조금씩 다른데, 정중앙과 양쪽 끝의 중간에 위치한 산봉우리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것도 있고, 중간 산봉우리와 양쪽 끝 산봉우리 사이에 물줄기를 표현한 것도 있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일월오봉도병풍
  • 제작연도: 19세기 말~20세기 초
  • 권리: 국립고궁박물관
  • 재료: 회화
국립고궁박물관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