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주걱

작자미상한국/광복이후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Seoul, 대한민국

주걱은 밥 따위를 그릇에 퍼담을 때 사용하던 주방용구로 주걱을 ‘주개’,
‘주벅’이라고도 부른다. 주걱의 형태는 음식을 젓거나 떠내는 부분인 넓
적하고 동그스름한 바탕과 갸름한 손잡이 부분으로 구분된다. 밥을 푸는
일 외에 죽을 끓이거나 엿을 고을 때도 주걱을 사용하였다. 주걱은 사용
범위가 넓으며, 그것의 크기와 생김새, 재질 등도 다양하다. 솥에서 많은
양의 밥을 풀 때는 크기가 약간 크고 자루가 긴 주걱을 사용하고, 밥그릇
에 밥을 담을 때는 작고 자루도 짧은 주걱을 쓴다. 이밖에도 고추장을 담
거나 깍두기를 버무릴 때, 죽을 쑬 때, 엿을 고을 때 쓰는 큰 주걱이 있는
데 이 주걱은 크고 자루도 길어 많은 양을 쉽게 섞을 수 있다.
밥을 푸는 주걱은 놋쇠나 대나무로 된 주걱을 사용하고, 고추장 등을 담
글 때는 나무로 만든 것을 사용한다. 요즘은 플라스틱으로도 나온다. 솥
안의 밥을 주걱으로 풀 때는 집의 안쪽을 향해서 펐다고 한다. 여기에
는 복이 집밖으로 달아나지 못하게 하려는 뜻이 담겨 있다. 이렇게 안쪽
으로 밥을 푸는 것을 ‘들이 푼다’라고 한다. 주부는 밥솥에서 제일 먼저
남편의 밥을 뜨고 그 다음 다른 식구들의 밥을 퍼냈는데 다른 식구들의
밥은 아랫사람에게 주걱을 넘겨주어 푸게 하기도 하였다. ‘밥 푸다 말고
주걱 남 주면 살림 빼앗긴다’고 하여 남에게 주걱을 빌려주면 재산이 줄
어든다는 속신도 있었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주걱
  • 제작자: 작자미상
  • 제작연도: 한국/광복이후
  • 위치: Korea
  • 크기: 길이 85 너비 16.5
  • 작품유형: 식/취사/조리도구/주걱
  • 재료: 나무
국립민속박물관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