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손에 네 개의 고리가 달린 사환장四環杖의 석장錫杖을 움켜쥐고 있는 민머리형 금동지장보살좌상으로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여 무릎 위에 올려 작은 보주寶珠를 받쳐 들었다. 지장보살이 석장과 보주를 함께 지물로 든 것은 고려후기에 제작된 입상立像의 지장보살도에 나타나는 형식이지만 조각으로 등장하는 것은 조선시대부터이다. 1478년경 제작된 무위사 목조지장보살상,1565년 달성사 목조지장보살상, 1578년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상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지만 석장과 보주는 후대에 보수되거나 결실된 경우가 많다. 민머리형 지장보살상은 16세기 이후 유행하는 형식이다. 이 지장보살상은 앞의 수종사 석탑 내 발견 금동여래좌상과 크기라든지, 큰 얼굴에 좁고 낮은 무릎의 신체비례, 미소 띤 얼굴, 간결하지만 볼륨감 있는 옷 표현 등에서 매우 유사한 작품이다. 두 개의 수식만 드리운 단순한 목걸이 장식 또한 수종사 석탑 내 발견 보살상들과 흡사한 점으로 미루어 1628년 인목대비 발원 불상 중의 한 구로 판단된다. 보고에 따르면 1970년 5월 수종사 오층석탑 삼층 지붕돌에서 발견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