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연상(硯床)

작자미상한국/조선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Seoul, 대한민국

벼루를 비롯한 각종 문방구를 담아 두거나 벌여 놓아두는 작은 상이다. 방에서 주인의 자리 앞에 놓이며 서안(書案)과 더불어 사용되었다. 벼루만을 담는 연갑(硯匣)과는 달리 서랍이
나 사방이 트여진 수납 공간을 두어 붓이나 연적, 먹, 문진 등을 넣어둘 수 있게 되어 있다.
윗쪽에 뚜껑 없이 벼루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연상도 있었는데 이를 연대(硯臺)라고도 한다.
또한 해주반(海州盤)과 같이 양측에 판각을 만들어 투각장식을 한 형태도 있으며, 문갑이나 서안의 높이와 비슷하게 하여 문갑과 서안을 겸용하게 한 연상도 있다. 온돌을 이용하는 우리의 생활에 적합하게 발전된 형태이다. 재료로는 은행나무, 먹감나무, 오동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등을 썼다. 대체로 금구장식은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나뭇결을 그대로 살리거나 옻칠이나 조각, 나전 등으로 장식하였다. 3층으로 구성된 직육면체 연상이다. 1층은 삼각기둥을 두어 사면이 개방된 형태로 쉽게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테두리에 턱을 둘러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2층은 서랍 형식이며, 3층은 두 개의 수납칸으로 나누고 두 짝의 뚜껑을 덮어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뚜껑은 문판과 같이 두 면에 문변자(門邊子)를 만들어 나무가 틀어지는 것을 막았고, 표면에 박지(剝地) 기법을 이용하여 원 안에 나무문양을 새겨 넣었다.
서랍과 기둥에는 전체적으로 국화, 나뭇잎 등을 새겨 넣었다. 서랍 앞판은 몸체 높이보다 길게 하여 서랍을 닫았을때 밑판이 보이지 않도록 하였으며 밑판은 3/4 정도만 막아 서랍을 열기가 용이하다. 바닥에는 높이가 낮은 굽 형태의 삼각형 다리를 부착하여 연상의 바닥이 지면과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였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연상(硯床)
  • 제작자: 작자미상
  • 제작연도: 한국/조선
  • 위치: Korea
  • 크기: 가로 42 세로 28 높이 25.5
  • 작품유형: 주/생활용품/가전/가구/연상
  • 재료: 나무
국립민속박물관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