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석제 '소랑환실서화지기' 인장 석제 '소랑환실서화지기' 인장

조선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서울, 대한민국

서체: 한인전(漢印篆)
사용자: 미상

인장은 사용자의 신분이나 신용을 나타낸다. 조선왕조의 인장은 국새나 관인 등 국가업무용 인장, 왕과 왕비의 존업성을 상징하던 어보(御寶)를 비롯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던 사인(私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인은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소랑현실서화지기”는 ‘소량현실의 서화에 찍었던 인장’을 의미한다. 낭현(瑯嬛)은 전설 속의 선경(仙境)을 뜻하는 말로 청나라 문사들 중에 ‘낭현’이나 ‘소랑현(小瑯嬛)’이란 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영향으로 김정희는 ‘동해낭현(東海瑯嬛)’, 오세창은 ‘소랑현실(小瑯嬛室)’이라는 당호를 썼다.

서체: 한인전(漢印篆)
사용자: 미상

인장은 사용자의 신분이나 신용을 나타낸다. 조선왕조의 인장은 국새나 관인 등 국가업무용 인장, 왕과 왕비의 존업성을 상징하던 어보(御寶)를 비롯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던 사인(私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인은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소랑현실서화지기”는 ‘소량현실의 서화에 찍었던 인장’을 의미한다. 낭현(瑯嬛)은 전설 속의 선경(仙境)을 뜻하는 말로 청나라 문사들 중에 ‘낭현’이나 ‘소랑현(小瑯嬛)’이란 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영향으로 김정희는 ‘동해낭현(東海瑯嬛)’, 오세창은 ‘소랑현실(小瑯嬛室)’이라는 당호를 썼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석제 '소랑환실서화지기' 인장 석제 '소랑환실서화지기' 인장
  • 제작연도: 조선, 조선
  • 권리: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 재료: 조각, 조각
국립고궁박물관

추가 항목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