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은 바닥에 깔거나 건물을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월지에서는 바닥에 깔았던 전이 다량 출토되어 당시 화려했던 궁궐건축의 편린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월지에서 출토된 대부분의 전은 윗면을 보상화로 장식하여 통일신라 초기에는 이 문양이 매우 성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보상화무늬 전의 측면에는 주로 용과 두 마리의 사슴무늬가 표현되는데, 월지에서는 사슴을 새긴 전이 많이 출토되었다. 따라서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원을 제외한 궁궐건축에서는 사슴무늬가 유행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고대 건물 주위 바닥에는 일반적으로 무늬가 없는 전을 깔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다만 사찰의 법당 주변 등 주요 지역에는 용무늬 전으로 장식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 전의 윗면에는 중앙에 연판, 그 외측에는 커다란 보상화무늬를 두고 네 모서리에는 별개의 꽃잎을 장식하였다. 특히 옆면의 사슴무늬는 양감이 적당하고 주위에 넝쿨무늬를 화려하게 배치하여 구도면에서 완벽한 균제감을 느낄 수 있다. 월지에서 다량 출토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제작 연대는 통일신라 초기인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전반 경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