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희

1130. 10. 18. - 1200. 4. 23.

주희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 주부자, 주문공 송태사휘국문공이라는 존칭이나 봉호로도 불린다. 자는 원회, 중회이다. 호는 회암, 회옹, 운곡노인, 창주병수, 둔옹등 여러가지가 있다. 시호는 문(文), 휘국공이다. 송나라 복건성 우계에서 출생했으며 19세에 진사가 된 후 여러 관직을 지내면서 공자, 맹자 등의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주돈이, 정호, 정이 등의 유학 사상을 이어받았다. 그는 유학을 집대성하였으며 오경의 참뜻을 밝히고 성리학을 창시하여 완성시켰다.
주희는 주염계, 이정으로 대표되는 이전 송학의 흐름을 이어받아 이를 집대성하고 종래 유교가 불교와 도교에 비해 사상적인 약점이었던 이론적 결여를 보완하는 우주론적, 인간론적 형이상학을 수립하게 된다. 이로써 한당의 훈고학적인 한계에서 벗어나 윤리학으로서의 본래성을 되찾는 한편 그것을 우주론적인 체계 속에 자리잡게 하고자 했다.
이후 주자의 철학은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를 지배하는 주도 이념으로 자리잡는다. 사후 송 영종 연간에 문공의 시호가 내려지고 송 이종 연간에 태사로 추증되었으며 신국공으로 추봉되었다가 다시 휘국공으로 고쳐 봉해졌고 문묘에 배향 종사되었다. 주돈이의 학통을 계승한 연평 이동의 제자이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위키백과

역사적 인물 자세히 알아보기

28개 항목

“If one peers into the mystery, the thai chi [taiji, supreme polarity] seems a chaotic and disorderly wilderness lacking all signs of an arranger…, yet the Li (fundamental pattern) of motion and rest, and of Yin and Yang, is fully contained within it.”

주희
1130. 10. 18. - 1200. 4. 23.

역사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