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니

기니 또는 기니 공화국은 아프리카의 서쪽 끝 대서양 연안에 있는 공화국이다. 기니라는 이름은 사하라 베르베르어파로 "흑인의 땅"을 의미한다.
대서양 연안과 라이베리아에 인접한 동남부지역은 열대몬순기후로 고온다습하고, 내륙의 푸타-잘롱 산지에서 니제르강 상류에 이르는 지방은 사바나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구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1958년 프랑스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를 거부하고 동년 10월 2일 완전 독립을 선언했다. 그 후 프랑스와의 관계는 악화됐다. 1984년 무혈 쿠데타로 집권한 콘테 대통령은, 좌경노선에서 온건·비동맹노선으로 선회했다.
주민은 물라니·말링케·수수족 등의 부족이며, 대부분이 이슬람교이다. 공용어는 프랑스어.농업인구가 전체 인구의 80%이며, 상품작물로서 커피·바나나·카카오가 중요하다. 지하자원으로는 금·철광석 등이 풍부하며, 보크사이트는 세계 생산량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매장량은 세계 3위이다. 광산물이 수출의 90%.구소련의 원조로 수력발전소와 알루미늄 공장이 건설되고, 중국의 원조로 바마코·코나크리 철도가 건설되었다.
수도 코나크리는 정치·경제·문화의 중심. 기니는 대통령이 노동지도자 출신인 까닭에 노동조합의 세력이 강하다. 문화면에서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국립극단과 발레단이 있고, 독자적인 악기에 의한 민족음악이나 무용이 성하다. 독립 후 교육의 보급에 힘쓰고 있는데 특히 기술교육에 중점을 두어, 공무원·교원을 양성하는 전문학교 외에, 이웃해 있는 말리의 고등교육기관과 협력관계에 있는 기니·말리대학에 이공학부가 설립되어 있다. 프랑스와 프랑스적 제도로부터의 탈피를 목적으로 1968년부터 8개의 부족어를 국어로 삼기 위한 일종의 교육혁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위키백과

장소 자세히 알아보기

53개 항목

역사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