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

1820. 12. 21. - 1898. 2. 22.

흥선대원군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대한제국의 추존왕이다.
본명은 이하응이다. 부인은 여흥부대부인 민씨이다. 남연군과 군부인 민씨의 넷째 아들이며,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친아버지이다. 영향력이 있었던 풍양 조씨 세도 집안과 양주 조씨 고급 관료 집안, 안동 김씨 세도 집안에게 각기 서예를 써서 바치고 서화 등을 그려다가 바쳐 보신책을 강구한 그는 1864년 1월 21일 어린 고종을 대신하여 국정을 이끌었으며, 안으로는 유교의 위민정치를 내세워 전제왕권의 재확립을 위한 정책을 과단성 있게 추진하였고, 밖으로는 개항을 요구하는 서구 열강의 침략적 자세에 대하여 척왜강경정책으로 대응하였다.
또한 서원을 철폐 및 정리를 하여 양반·기득권 토호들의 민폐와 노론의 일당 독재를 타도하고 남인과 북인을 채용하였으며, 동학과 천주교를 탄압하고 박해하였다. 1864년 1월부터 1873년 11월까지 조선의 국정을 이끌었었다. 직접 며느리 명성 황후를 간택하였으나, 도리어 명성황후에 의해 권좌에서 축출되었다. 1873년 11월 명성황후와 유학자 및 안동 김씨, 풍양 조씨, 여흥 민씨 등에 의해 축출된 이후 명성 황후와 권력투쟁을 벌였다. 일본인과 결탁하여 며느리 명성황후의 암살을 기도하기도 했다. 유길준에 따르면 흥선대원군은 차라리 명성황후를 제거해 달라고 일본 공사관에 수시로 부탁했다고 한다.
명성황후와 민씨 일족 및 고종을 폐출하고 완흥군, 이재선 등을 조선 군주로 옹립하려는 쿠데타를 기도했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손자 영선군 이준용을 왕위에 앉히기 위해 여러 번 정변을 기도하였으나 모두 실패했다. 을미사변의 조선인 주요 협력자의 한사람이기도 하다. 쇄국정책과 천주교도 대량 학살, 무리한 경복궁 중건 과정, 일본에 명성황후의 제거를 청탁한 점 등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성 출신으로 자는 시백, 호는 석파·해동거사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1907년 10월 1일 대원왕으로 추봉되었고 헌의를 시호로 받아 흥선헌의대원왕이 되었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위키백과

역사적 인물 자세히 알아보기

역사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