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상벽의 고양이와 참새 猫雀圖(조선 18세기)국립중앙박물관
조선후기 동물화와 인물화로 명성이 높았던 화가 변상벽卞相璧(1730~1775)의 대표작품 중 하나인 <묘작도>입니다.
먼저 그림을 꼼꼼히 살펴볼까요? 먼저 화면 가운데 우뚝 솟은 나무 위 아래로 두 마리의 고양이가 서로 마주하고 있고, 나뭇가지에는 다급하게 지저귀는 참새 떼가 그려져 있습니다. 굵은 붓으로 윤곽선을 그리고 거친 붓으로 표현한 나무에 비해 고양이와 참새들은 아주 가는 붓으로 털 한 올 한 올을 정성스럽게 묘사하여 대조를 이룹니다.
두 마리의 줄무늬 고양이는 지금도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친숙한 줄무늬 고양이인데요. 나무 아래에서 다소곳이 앉아 고개를 젖혀 나무 위를 바라보고 있는 검은 줄무늬 고양이와 나무에 매달려 잔뜩 등을 웅크린 채 아래를 바라보고 있는 회색 줄무늬 고양이 사이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돕니다. 크기로 보아 나무 아래 고양이가 더 몸집이 큰 것으로 보아, 회색 고양이는 그를 피해 나무에 올라 탄 것으로 보입니다.
검은 고양이의 둥근 발과 달리,
나무 위의 고양이는 날카로운 발톱을 세워 앞발로 나무를 꼭 움켜쥐고 뒷다리로 몸을 지탱하고 있는 모습은 그러한 긴박한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습니다.
엷은 잎이 막 자라고 있는 나뭇가지에는 여섯 마리의 참새들이 서로를 마주보며 이 상황을 분주히 전하고 있는 듯하죠.
고양이들의 고개를 뒤로 돌린 자세와 동세, 세밀하게 묘사한 잔털의 표현은 화가인 변상벽이 고양이를 얼마나 오랫동안 관찰해왔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합니다. 얼룩 줄무늬 고양이와 참새는 지금도 쉽게 접할 수 있는 동물들인데요. 특히 고양이의 노란 눈동자와 하얀 콧수염, 분홍빛 코, 팽팽하게 긴장된 뒷다리 근육 등의 묘사는 가까이에서 오래도록 보지 않았다면 알 수 없는 표현들입니다.
변상벽의 동물 그림은 이처럼 사실성이 매우 뛰어나서, 보는 이들이 감탄하였다고 하는데요. 그의 별명이 ‘변고양이’, ‘변닭’으로 불렸을 만큼 고양이와 닭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합니다. 이 작품 역시 한 쌍의 고양이와 참새 떼의 모습을 짜임새 있는 구도와 묘사력을 갖춘 수작입니다.
고양이와 참새는 한자로 각각 ‘고양이 묘猫’와 ‘참새 작雀’라고 쓰는데요. 한자 발음이 늙은이의 ‘모耄’와 까치의 ‘작鵲’과 비슷하여 장수의 기쁨을 상징하는 의미로 널리 그려졌던 주제입니다.
이처럼 우리 옛 그림 속 동식물들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친숙한 소재였기 때문에 오래도록 사랑받았습니다. 변상벽처럼 일상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소재들을 그림으로 묘사해보면 어떨까요?
구글과 함께하는 반짝 박물관 (Google Arts & Culture Pop-up Lab)
‘반짝’거리는 생각을 담아 ‘반짝’하며 나타난 이곳은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이 구글 아트 앤 컬처가 함께 만든 디지털 체험 공간입니다. 세상에는 가보고 싶은 수많은 문화유산들이 있습니다. 반짝 박물관에서는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어디서건 세계 곳곳의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보여줍니다.
구글이 어린이들만을 위해 디지털 체험 공간을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문화가 기술을 만나 꿈이 현실이 된 이곳에서 새로운 상상을 마음껏 해보시기 바랍니다. 언젠가 또 현실이 될지 모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