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월의 동행

세월호 희생자 추념전 2016.04.16 ~ 2016.06.26

Unknown의 전시전경(2016)경기도미술관

사월의 동행

경기도미술관은 세월호 2주기를 맞이하는 날인 2016년 4월 16일 세월호 희생자 추념전 《사월의 동행》전을 열었습니다. 사건 직후 세월호합동분향소가 화랑저수지 내에 설치됨으로써, 같은 구역에 자리하고 있는 경기도미술관은 세월호와 관련된 여러 상황을 가장 지근거리에서 지켜보는 공공기관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미술관으로 하여금 현대사회에서 “예술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갖게 하였습니다. 과연 미술관이 기획자의 역할과 기능을 통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사회적, 예술적 담론들을 공개의 장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했습니다. 이런 질문과 대답을 통해 희생자 가족은 물론, 참사로 인해 공동의 아픔을 갖게 된 이웃들과 서로를 위무하고 우리의 미래에 관해 이야기해 보고자 했습니다.

전시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중견예술가와 청년예술가, 현장예술가 등 다양한 분야와 세대를 아우르는 작가들이 세월호 참사를 예술가의 시선으로 기록하고 해석해낸 이야기를 선보였습니다. 공동의 분노와 공포를 날카롭게 직시하면서도 슬픔과 상처를 따뜻하게 보듬어내고자 하는 예술가들의 사유는 세월호 참사 이후 예술이 무엇을 담아내고 표현할 것인지, 어떻게 사회와 함께 호흡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물음을 던지고 있습니다.

Unknown의 전시전경(2016)경기도미술관

경기도미술관은 《사월의 동행》 전시와 연계된 이 책이 세월호 희생자들을 추념하는 전시를 기록하는 것과 동시에 세월호 이후의 한국현대미술의 지형과 사유에 대해 숙고하는 책이 되길 바랍니다. 그런 기획 아래 사회학자 노명우의 글을 수록하였고 미학자 양효실, 조선령, 미술평론가이자 경기도미술관의 학예실장인 량원모가 사회적 재난과 비극을 대면하는 예술과 윤리, 참여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또한 세월호 이후 2년간 미술계에서 진행되었던 여러 자료들을 모아 초보적인 메타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해 전시 참여작가들과 관객들의 목소리를 수록하였고, 더불어 416기억저장소에서 진행하였던 《밝은 빛》 전시에 기고된 동시대 작가들의 글도 함께 실었습니다.

Unknown의 예술행동 아카이브(2016)경기도미술관

《사월의 동행》 전시는 ‘416가족협의회’, ‘416기억저장소’의 도움과 지지가 없었더라면 이뤄질 수 없었습니다. 또한 이 책이 출판되도록 도와주신 안산시의 지원에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무엇보다도 이 전시를 위해 잠 못 이루며 고민하고 애써 주신 참여 작가분들과 경기도미술관의 큐레이터들, 스태프들의 노고에 다시 한번 고마움을 표합니다. 2016년 4월, 이 전시를 계기로 영원한 여행을 떠난 희생자들을 위한 진정한 추모가 이뤄지도록 우리 함께 나아가는 새로운 동행이 시작되길 기원합니다.

최은주 경기도미술관장

경기도미술관의 사월의 동행(2016)경기도미술관

강신대의 0416 실시간(2016)경기도미술관

1.강신대

1988년 경기도 파주에서 출생했다. 2015년 계원예술대학교 현대예술창작과 기획 학부를 졸업하고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에 재학중이다. 최근 참여한 전시로는 2015년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 2015》(아트선재센터, 서울), 《사유하고, 사유하라.》 (아트스페이스 H, 서울)가 있다.

0416 실시간(설치전경), 강신대, 2016,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강홍구의 세월(2014)경기도미술관

2.강홍구

1956년 전라남도 신안에서 출생했다. 1987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1990년 동대학원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1992년 갤러리 사각(서울)에서의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금호미술관(서울), 로댕갤러리(서울), 고은사진미술관(부산)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15년 개인전으로는 《언더프린트: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갤러리, 서울)이 있다.

광화문을 지나며, 강홍구, 2014,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강홍구, 2014,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3.권용주

1977년 대구에서 출생했다. 2002년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조각학과를 졸업했다. 최근 참여한 전시로는 2015년 《리듬풍경》(경기도미술관, 안산), 2011년 《폭포_생존의 구조》(문래예술공장, 서울)가 있다.

4.김상돈

197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2000년 베를린국립예술 대학교(UdK) 건축과에 입학하고, 2003년 베를린 국립예술대학교(UdK) 순수미술과를 졸업했다. 2004년에는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UdK) 순수미술과 마이스터쉴러 과정을 졸업했다. 최근 개인전으로 2014년 《모뉴먼트 제로》(트렁크 갤러리, 서울), 《안테나》(두산갤러리 뉴욕, 뉴욕)가 있다. 2012년에는 제3회 ‘두산연강예술상’을 수상했다.

노순택의 전시전경(노순택)(2016)경기도미술관

5.노순택

1971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995년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2003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사진디자인 과정을 중퇴했다. 최근 개인전으로 2016년 《Dance of Order》(43 인버니스 스트리트, 런던), 2015년 《좋은 살인》(갤러리 수가타, 교토) 등이 있다. 2014년에는 ‘올해의 작가상’ (국립현대미술관)을 수상했다.

가뭄 #CFF0123,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허송세월; 버려진 7시간 #CEF2501,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가뭄 #CFF0116,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가뭄 #CFF0106,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가뭄 #CFF0126,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가뭄 #CFF0122,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가뭄 #CFF0118,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허송세월; 버려진 7시간 #CEF3101,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허송세월; 버려진 7시간 #CEF2501, 노순택, 2015,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3반 김영은의 방, 노순택, 2016, 제공: 경기도미술관 컬렉션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6.노충현

1970년 경상남도에서 출생했다. 1999년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2006 동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2005년 개인전 《살-풍경(殺-風景)》 (관훈 갤러리, 서울)을 시작으로 여러 전시에 참여했다. 최근 2015년에는 《자리》(갤러리 소소, 파주), 2013년에는 《살-풍경(殺-風景)》(국제갤러리, 서울) 개인전을 가졌다.

7.박은태

1961년 전라남도 강진에서 출생했다. 1992년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2015년 《기다리는 사람들》(세종문화회관미술관 광화랑, 서울), 단체전으로는 《망각에 저항하기— 304인의 작가가 다가 서다》(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 전시에 참여했다.

박재동의 잊지 않겠습니다 —단원고 아이들(2015)경기도미술관

8.박재동

1952년 경상남도 울산에서 출생했다. 1976년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미술교육과를 졸업했다. 2001년부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최근 전시로는 2015년 세월호 추모 만화전 《MEMORY》(서구문화센터 갤러리, 광주)에 참여했다. 2009년에는 제10회 대한민국 국회대상 ‘올해의 만화가상’을 수상했다.

서용선의 팽목항 넋전(2014)경기도미술관

9.서용선

1951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979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1982년 동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최근 2016년에는 《문화적 대화》(갤러리 LVS, 서울 / 주시드니한국문화원, 호주) 전시에 참여했고, 2015년에는 개인전 《서용선_자화상》(갤러리 이마주, 서울), 《서용선의 도시 그리기_유토피즘과 그 현실사이》(금호미술관, 서울 / 학고재 갤러리, 서울)을 가졌다. 2009년에는 ‘올해의 작가상’(국립현대미술관)을 수상했다.

안규철의 우리 아이들을 위한 읽기(2016)경기도미술관

10.안규철

1955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977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1995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학교 학부 및 연구과정을 졸업했다. 1997년부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1992년 스페이스 샘터화랑(서울)에서의 첫 개인전 이래로 학고재(서울), 로댕갤러리(서울), 카사엔센디자(마드리드), 하이트컬렉션(서울)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15년에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개인전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를 열었다.

안규철의 우리 아이들을 위한 읽기(2016)경기도미술관

11.이세현

1967년 거제도에서 출생했다. 첼시예술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학을 전공했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2015년 《레드–개꿈–이세현展》(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파주), 2012년 《플라스틱 가든》(학고재, 서울)이 있다. 2014년에는 제11회 ‘하종현미술상’을 수상했다.

12.이윤엽

1968년 수원에서 출생했다. 수원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2002년 수원미술관(수원)에서의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2014년 10회 개인전 《판화로 만나는 세상이야기》(울산노동역사관 1987, 울산)를 가졌다. 2012년에는 제2회 ‘구본주예술상’을 수상했다.

이미지 누락

13.장민승

1979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조소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조소학과를 졸업했다. 올해 신작 《입석부근》(플랫폼 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서울)을 9월에 전시할 예정이며, 최근 전시로는 2014년 《家具八字—Hidden Track》(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12년 《The Moments》(원앤제이 갤러리, 서울)이 있다. 2014년에는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을 수상했다.

이미지 누락

14.전명은

1977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2002년 중앙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2009년 파리8대학 사진과 석사학위를 받았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2014년 《그 사진은 어디로 갔을까》(캔파운데이션 오래된 집, 서울), 프로젝트로는 2015년 《어떤 사람의 사진》(서울시 창작공간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이 있으며, 단체전으로는 2015년 《2015 생생화화 : 시간수집자》(경기도미술관, 안산)에 참여했다.

전수현의 대화(2014)경기도미술관

15.전수현

1967년 충청남도에서 출생했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2015년 《신기루—전수현전》(나무화랑, 서울)이 있고, 단체전으로는 《보통의 기억》(갤러리 로터스, 파주), 《분홍공장 국제 레지던시 프로젝트》(화촌면사무소, 강원), 《망각에 저항하기—304인의 작가가 다가 서다》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 전시에 참여했다.

16.전진경

1973년 충청북도 충주에서 출생했다. 1997년 홍익대학교 동양화과를 중퇴하고 1999년~2006년까지 그림공장(미술가 단체) 작가로 활동했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2015년 《가두어야 하는 나의 미친 귀염둥이》(On-Air 갤러리, 서울)가 있고, 단체전으로는 《뉴 컨템포러리》(경기창작센터, 안산), 《한러 국제 교류전—한줌의 도덕》(이르크츠크 국립미술관, 러시아)에 참여했다. 2013에는 ‘민족예술상’(민족예술총연합회)을 수상했다.

17.조소희

1971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995년 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2003년과 2010년에는 파리1대학에서 조형예술학 석 ·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2014년 오래된 집 재생프로젝트 9 《아홉 개의 사다리》(오래된 집, 서울)가 있고, 단체전으로 2015년 《색채연구》(사비나미술관, 서울)에 참여했다. 2014년에는 제14회 ‘송은미술대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미지 누락

18.조숙진

1960년 전라남도 광주 출생으로, 1988년 뉴욕으로 이주했다. 1985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서양화과, 1991년 프랫 인스티튜트 미술 대학원을 졸업했다. 최근 개인전으로 2015년《Earth and Sky: Captured Movement》(찰스 왕센타, 스토니부룩 대학, 뉴욕), 2011년 《Walter Gropius Master Artist Series》(헌팅톤 미술관, 웨스트 버지니아, 미국)이 있고, 단체전으로 2014년 《세미골드 노바디》 (서울시립미술관, 한국) 전시에 참여했다. 2008년 ‘하종현미술상’을 수상했다.

19.최정화

1961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987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최근 전시로는 2016년 《Yuejin 랜턴 페스티벌》 (타이완), 2015년 《트랜스포머》 (로마현대미술관, 로마), 《연금술》(페닌슐라 호텔 시카고, 시카고), 《드림 소사이어티: Orginability》(서울미술관, 서울)에 참여했다. 2006년에는 ‘올해의 예술상’(한국문화예술진흥원)을 수상했다.

최정화의 갑갑함에 대하여(2014)경기도미술관

최정화의 갑갑함에 대하여(설치전경)(2014)경기도미술관

최호철의 안산 단원고 앞 겨울풍경(2015)경기도미술관

20.최호철

1965년 출생했다.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2001년부터 청강문화산업대학 만화콘텐츠스쿨 교수로 재직중이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2012년 《동네화가전》(디방, 서울)이 있고, 단체전으로는 2015년 《경기팔경과 구곡: 산 · 강 · 사람》 (경기도미술관, 안산), 《일상속 DMZ전》 (성남아트센터, 성남), 《망각에 저항하기—304인의 작가가 다가 서다》(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 전시에 참여했다.

최호철의 이루지 못한 귀향(2015)경기도미술관

21.홍순명

1959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983년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89년 파리국립고등미술학교를 졸업했다. 1989년 티모티 티유 화랑(아틀란타)에서의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미메시스아트뮤지엄(파주), 사비나미술관(서울), 갤러리 현대(서울)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2016년 《마비니 2016년 2월》(마비니 갤러리, 마닐라, 필리핀)이 있고, 단체전으로는 《Made in Seoul》(아베이에 생 앙드레 현대미술관, 메이막, 프랑스)에 참여했다.

제공: 스토리

주최 :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주관 : 경기도미술관, 안산시
협력 : 416가족협의회, 416기억저장소
협찬 : 416가족협의회, 416기억저장소
홍보협력 : (재)안산문화재단

참여작가 : 강신대, 강홍구, 권용주, 김상돈, 노순택, 노충현, 박은태, 박재동, 서용선, 세월호를 생각하는 사진가들, 안규철, 이세현, 이윤엽, 장민승, 전명은, 전수현, 전진경, 조소희, 조숙진, 최정화, 최호철, 홍순명
전시총감독 : 최은주
전시진행총괄 : 양원모
큐레이터 : 이채영
협력큐레이터 : 윤가혜
학예보조 : 한혜선, 서주희

전시디자인 : 권용주
그래픽디자인 : 신신(신해옥, 신동혁), 이은솔
아카이브 자문 : 박상애
아카이브 리서치 : 강신대
영문번역 : 박신희, 안소연(長通坊)
전시연계교육 : 황록주, 서지현
홍보 : 방초아
봉선화 기도 304 워크숍, 도슨트교육 : 오송아
도슨트 : 김용옥, 유수현, 이소영, 이다희, 최진영, 주창하
학예지원 : 박우찬, 박본수, 최기영, 김윤서, 장새미, 이진실, 한정원, 윤승연
행정지원 : 이현경, 정승희, 이지연, 정수미
시설지원 : 신운수, 김경욱, 주남규, 조만흥, 문종욱, 김정윤, 한종국, 임웅선
안내 : 박혜진, 김성령, 강영아
공간연출시공 : (주)에스엠티앤에스
작품설치 : 아트플러스
사인물 제작·설치 : 프로브
영상설치 : 미지아트
영상촬영 : 우유미디어랩

참여: 모든 표현 수단
일부 스토리는 독립적인 제3자가 작성한 것으로 아래의 콘텐츠 제공 기관의 견해를 대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더보기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