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한국이 도움을 받던 나라에서 도움을 주는 나라로 성장했던 과정은 어떠했을까요? 국가기록물을 통해서 알아보세요

국립영화제작소의 NEWSWEEK 한국 발전상 소개(1977)국가기록원

6.25 전쟁으로 폐허가 된 한국은 유엔한국재건단(UNKRA) 등의 도움으로 재건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이후, 1970년대 중반 한국은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며 국제사회에서 원조 대상국 지위를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외무부의 국제개발 연찬사업 자료 송부(1985)국가기록원

1977년부터 한국은 기자재를 개발도상국에 공여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개발도상국의 인사들을 초청하여 개발 경험을 공유하는 국제개발 연찬사업을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주관으로 1982년부터 시작합니다.

공보처의 한국수출입은행 개업식(1976)국가기록원

한국수출입은행 개업식입니다. 1987년 한국은 한국수출입은행을 통하여 대외경제협력기금을 조성해 UNDP와 함께 개발도상국에 대한 재정지원을 시작합니다.

공보처의 한국 국제연합 정회원국 안보리 통과(1991)국가기록원

1991년 9월 17일 한국과 북한의 UN 동시 가입이 승인됩니다. 한국은 UN의 161번째 회원국으로써, UN의 다양한 의제를 함께 고민하는 국제적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과학기술처의 한국 국제협력단 설립 한국 국제협력단 설립 추진(1990)국가기록원

1991년 국제원조사업전담기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설치되었습니다.

과학기술처의 한국 국제협력단 설립 한국 국제협력단 주요 업무(1990)국가기록원

한국 국제협력단의 주요 업무로는 대외 기술협력, 대외 무상원조, 청년 해외봉사단 파견, 의료단 및 태권도 사범 파견, 해외이주 및 취업알선 입니다. 

공보처의 한국 국제협력단 소개(1991)국가기록원

한국 국제협력단 소개 영상입니다.

공보처의 국제연합(UN)평화 유지군 선발대 소말리아 파병(1993)국가기록원

한국은 UN에 가입한 후 UN의 요청을 받아들여 평화유지군(PKO)활동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공보처의 현지에 구호품 나누어주는 통티모르 파견 상록수부대 장병(1999)국가기록원

평화유지군 활동은 점차 증가 하고 있습니다. 앙골라, 동티모르, 서사하라, 아이티, 남수단 등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UN 평화유지군 예산도 함께 지원하고 있습니다.

유엔의 유엔총회(2006)국가기록원

2006년에는 UN 사무총장으로 반기문 총장이 선출되었습니다. 한국은 원조 수혜국에서 국제연합수장까지 배출한 국가가 되었습니다. 이제 한국은 국제사회의일원으로 각종 구호 및 평화 유지 활동에 주도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전쟁을 겪었던 나라에서 국제 원조국이 되기까지. 6.25 전쟁 후 복구와 재건에 대해 살펴보세요. 한국 경제부흥에 기여한 미국의 개발 원조에 대해서도 알아보세요. 

참여: 모든 표현 수단
일부 스토리는 독립적인 제3자가 작성한 것으로 아래의 콘텐츠 제공 기관의 견해를 대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역사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