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Book of State Rites of the Reconstruction for Kyeongmo Palace

Government of JoseonJoseon, 1776-1800 (Jeongjo’s reign)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성남시, 대한민국

An uigwe writing protocols about Gyeongmo palace, which is a shrine of Jeongjo’s birthfather crown prince Jangheon (1735-1762) and princess Heongyeong (1735-1815) in 1783 (Year 7 of Jeongjo). Total four volumes consist of an illustration, ritual process, previous examples and memorial service each. In the first volume illustration, it contains arrangement of Gyeongmo palace, enshrinement, and a royal progress. Ritual process writes about the royal protocol and established rules and forms. In the previous example book, it records all kinds of rituals held when crown prince Jangheon was alive. In the memorial service part, it writes the process of building Gyeongmo palace after Jeongjo became a king, and about revering crown prince Jangheon’s life.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Book of State Rites of the Reconstruction for Kyeongmo Palace
  • 제작자: Government of Joseon
  • 제작자 국적: Korean (Joseon)
  • 날짜: Joseon, 1776-1800 (Jeongjo’s reign)
  • 현재 위치: Jangseogak, Academy of Korean Studies, Seongnam-si, Gyeonggi-do, Rep. Korea
  • 크기: w33 x h49 cm
  • 지정 문화재: Memory of the World (세계문화유산) [in 2007, UNESCO]
  • 전체 구성: 3 books
  • original title: Gueongmogung euigwe (경모궁의궤, 景慕宮儀軌)
  • korean caption: 1783년(정조 7) 정조(正祖)의 생부 장헌세자(莊獻世子/思悼世子, 1735~1762)와 세자비 헌경왕후(獻敬王后/惠慶宮 洪氏, 1735~1815)의 사당인 경모궁(景慕宮)에 관한 의식을 모아 만든 의궤. 모두 4권으로 각 권 별로 도설(圖說), 사전(祀典), 고실(故實), 금제(今制)를 수록하였다. 도설(圖說)에는 경모궁의 배치와 봉안 집물, 향사(享祀)시 반차도 등을 삽도와 함께 수록했고, 사전(祀典)에는 제례에 따른 의전 절차와 규식을, 고실(故實)에는 장헌세자 생전의 각종 의식과 절목 등을 기록하였다. 금제(今制)는 정조 즉위 후 경모궁의 건립 경위와 장헌세자에 대한 추숭 사실을 기록하였다.
  • 출처: Academy of Korean Studies
  • 작품유형: Manuscript
  • 권리: Academy of Korean Studies
한국학중앙연구원

추가 항목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