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중

1680년 이분 남매 화회문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성남시, 대한민국

1680년(숙종 6)에 이분 남매가 합의하여 재산을 나누고 작성한 문서이다. 화회 당사자는 장녀 유학 나성한羅星漢의 처, 장남 선교랑宣敎郞 이분李蕡, 얼자孽子 이술이李述伊, 얼자孽子 이사술李士述 등 4인이며, 부모님의 유언과 이전의 분재관행을 염두에 두고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분재가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예로 재사齋舍나 강정江亭을 종자나 종손에게 오로지 분재하는 것은 이전부터 있어온 이 가문의 관행이다. 한편 첩자녀도 재산을 분배받고 있으나 화압이 없어, 화회에 참석한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생계가 염려되는 첩자녀 가족을 위해 이들에게 분수分數 이상을 가급加給하거나, 딸 하나만을 두고 죽은 첩자녀 몫으로는 재산을 감급減給하는 것으로 보아 첩자녀에 대한 재산분배는 생계유지가 일차적 목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분재시에 봉사위는 장남 몫에 포함시켜 기록하였다. 노비의 경우 각각의 몫과 신노비질新奴婢秩 이외에도 노노비질老奴婢秩, 도망질逃亡秩 을 두었고, 충청도 노비 전라도 노비 등 지역별로 구분하기도 하여 세분하여 분재하였다.
문서 뒷면의 각 장을 점련한 곳에 화회 당사자인 이분李蕡의 수결과 나성한의 처 이씨의 인장이 찍혀 있다. 한편 글자를 수정할 경우 도할刀割하여 오려 붙였고, 그 자리에는 뒷면에 수결을 하거나 혹은 인장을 찍었다. 도할한 글자가 한 두 자로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그 뒷면에 필집 이정필李廷弼 의 수결이 있고, 도할한 자리가 클 경우에는 이정필의 수결 뿐 아니라 화회 당사자인 이분의 수결과, 누이 이씨의 인장도 찍었다.

간략히 보기자세히 알아보기
  • 제목: 1680년 이분 남매 화회문기
  • 제작연도: 1680
  • 크기: 1장
  • 원문 언어: 한문
한국학중앙연구원

추가 항목

앱 다운로드

박물관을 둘러보고 Art Transfer, Pocket Gallery, Art Selfie 등의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