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지연도

최고의 여신선인 서왕모가 베푼 연회장은 어떤 모습일까요? 경기도박물관의 요지연도를 통해 신선들의 세계를 들여다 봅니다.

심사정의 요지에서 열린 잔치 瑤池宴圖(조선19세기)경기도박물관

요지연도란?

도교에서 신선들이 사는 곳은 불로불사의 낙원이자 이상향으로 여겨졌다. 최고의 여신선인 서왕모가 산다는 곤륜산은 당나라 때부터 문학 작품에 자주 등장하였고, 원대 이후에는 그곳에서 서왕모가 베푼 연회를 묘사한 요지연도 같은 회화가 많이 그려졌다. 서왕모의 과수원에 3천 년마다 열린다는 복숭아를 먹으면 불로장생한다는 이야기는 신선 세계로서 곤륜산이 가진 영험함을 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 감신총 무덤의 벽화에 서왕모를 묘사한 그림이 있어 늦어도 삼국시대부터는 서왕모에 대한 관념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경기도박물관의 요지연도

중국 주나라의 목왕이 서왕모가 사는 곤륜산의 ‘요지’라는 연못에서 열리는 연회장에 초대 받은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서왕모가 살고 있는 곤륜산에는 3천년 만에 열매가 열린다는 반도, 연회에 초대받은 여러 신선들, 마당의 봉황 등이 모두 인간의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초세적인 장수를 상징하는 것이다. 화면 중앙 4~5폭에는 두 주인공인 서왕모와 주목왕의 연회가 베풀어지는 장면이 위치해 있고, 1~2폭에는 여러 신선들이 그 곳을 향해 건너오는 모습이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파노라마식 화면구성에 청록의 채색기법을 사용하여 화려하면서도 정교하게 표현되었다. 궁중에서 애호된 병풍화 중 하나로 화면 구도나 각 도상에서 십장생도와 같은 궁중회화와의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성노인
수성노인은 남극노인 또는 남극선옹이라고도 불리는 민간신선 중의 하나로 장수의 상징이며, 작은 키에 등이 약간 굽었고 대머리에 수염을 길렀으며 앞으로 튀어나온 긴 이마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눈썹과 수염을 흰색으로 칠함으로써 구부정한 자세와 함께 나이 많은 노인이라는 것을 표시해준다.

노자
노자는 역사적인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도교의 신선으로 편입되어 ‘태상노군’이라는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존재이다. 그림으로 그려진 노자의 모습은 항상 소와 함께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요지연도에서 노자는 하늘이나 바다가 아닌 육지를 통해서 연회장으로 건너오는 몇 안되는 신선 중의 하나로 표현되고 있다.

팔선
신선 중 가장 인기 있는 8명의 신선(이철괴, 종리권, 장과로, 하선고, 남채화, 여동빈, 한상자, 조국구)을 팔선이라고 한다. 팔선이 연회에 참석하기 위해 한 무리를 이루어 바다를 건너는 장면이다.

복숭아나무
신선계를 상징하는 복숭아나무이다.

서왕모
화려하고 아름다운 자태로 표현되어 있다. 서왕모의 좌우에는 선인으로 상징되는 여인들이 다양한 시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물결 위의 신선들을 바라보거나 연주하고 춤추는 여인들을 바라보기도 하는 등 연회의 한가로움을 묘사하고 있다.

주목왕

8준마
주목왕이 타고 온 여덟 필의 준마와 수레가 표현되어 있다.

제공: 스토리

총괄│김준권
기획│유지인, 심경보
지원│경기문화재단 홍보마케팅팀

참여: 모든 표현 수단
일부 스토리는 독립적인 제3자가 작성한 것으로 아래의 콘텐츠 제공 기관의 견해를 대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더보기
관련 테마
경기 천년의 예술과 역사
대한민국 경기도의 천년을 이어 온 예술과 역사를 만나보세요.
테마 보기

Visual arts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맞춤형 Culture Weekly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세요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첫 번째 Culture Weekly가 전송됩니다.

탐색
플레이
주변
즐겨 찾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