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악기
우리나라의 현악기는 발현, 찰현, 타현악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발현악기는 줄을 튕기거나 뜯어 소리를내고, 찰현악기는 활로 줄을 문지르거나 손으로 뜯어 소리를 냅니다. 그리고 채로 줄을 쳐 소리 내는악기는 타현악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가야금·거문고는 발현악기이며 해금·아쟁은 찰현악기, 양금은 타현악기로 분류합니다.
국립국악원의 가야금국립국악원
가야금
가야금은 줄을 뜯거나 튕겨서 소리 냅니다. 오동나무로 만든 울림통 위에 12개의 안족(줄을 올려놓는 받침대)을 올려놓고 그 위에 명주실을 꼬아 만든 줄을 얹어 만든 가야금은 크게 풍류가야금과 산조가야금으로 구분됩니다. 각 각의 가야금은 독주나 합주, 반주 등에 두루 사용되며, 최근에는 음량과 음색을 확장한 17,18,21,25현 개량가야금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악원의 거문고국립국악원
거문고
거문고는 작은 대나무로 만든 술대를 손가락 사이에 끼우고 6개의 줄을 치거나 뜯어서 소리 냅니다. 가야금보다는 상대적으로 줄이 굵은 편입니다. 음역이나 줄 수, 줄의 재질 등을 달리한 개량 거문고가 있으며 독주나 합주, 반주 등에 두루 사용 됩니다.
국립국악원의 해금 연주모습(2014-10-07)국립국악원
해금
해금은 공명통에 기둥을 세우고 2개의 줄을 걸고 그 사이에 말총으로 만든 활을 끼워 만듭니다.
국립국악원의 아쟁 연주국립국악원
아쟁
아쟁은 7개 또는 8개의 줄을 활로 문지르거나 손가락으로 뜯어 소리 냅니다. 아쟁에는 7줄의 대아쟁과 8줄의 소아쟁(또는 산조아쟁)이 있으며, 독주나 합주, 반주 등에 사용됩니다.
국립국악원의 양금국립국악원
양금
한국의 전통양금은 철사로 된 줄을 대나무로 만든 채로 쳐서 소리 냅니다. 사다리꼴 모양의 울림통 위에 2개의 괘를 올려놓고 그 위에 1조 4개의 금속줄을 한벌로 하며 열네 벌을 얹어 연주합니다.
관악기
우리나라의 관악기는 주로 대나무를 재료로 이용합니다. 연주자세에 따라 세로로부는 악기와 가로로부는 악기로 나눌 수 있는데 피리, 단소, 태평소 등이 세로로 부는 악기이며 대금, 소금 등이 가로로 부는 악기입니다.
국립국악원의 향피리국립국악원
피리
피리는 관대와 서(reed)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대나무를 얇게 깎아 만든 서를 입에 물고 김을 불어 넣어 소리 냅니다.
국립국악원의 대금국립국악원
대금
대금은 6개의 지공이 있으며 취구라는 구멍에 입김을 불어 넣어 소리 냅니다. 관대에는 취구와 지공 외에 얇은 갈대청(갈대줄기 속에 있는 얇은 막)을 붙이는 청공이 있으며, 금속으로 만든 청가리개로 청공을 덮거나 열어 청의 떨림을 조절합니다. 음악의 갈래에 따라 크게 정악대금과 산조대금으로 구분됩니다.
국립국악원의 단소(2015-02-12)국립국악원
단소
단소는 5개의 지공이 있으며 U자 모양의 취구에 입김을 불어 넣어 소리 냅니다.
국립국악원의 생황(2015-02-12)국립국악원
생황
생황은 박으로 만든 공명통에 대나무관을 꽂아 만든 악기입니다.
National Gugak Center의 태평소국립국악원
태평소
태평소는 관대 끝에 갈대로 만든 서롤 꽂아 입에 물고 김을 불어 소리 냅니다. 원추형의 나무관대에는 8개의 지공이 있으며, 끝에는 쇠로 만든 동팔랑이 있어 소리를 앞쪽으로 모으는 역할을 합니다.
타악기
우리나라의 타악기는 금속, 가죽, 나무, 대나무, 돌 등으로 만듭니다. 선율을 연주할 수 있는 유율타악기와 단순히 울림만 낼 수 있는 무율타악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연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유율타악기는 편종과 편경 등이 있이며 무율타악기에는 박, 좌고, 장구, 꽹과리, 징, 북 등이 있습니다.
국립국악원의 박국립국악원
박
박은 6개의 단단한 나무판을 엮어 만들며, 부채처럼 폈다가 오므릴 때 나무판이 부딪히면서 소리 냅니다. 관현합주, 정재, 제례악 등의 시작과 끝 또는 장단이 바뀜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국립국악원의 장구국립국악원
장구
장구는 가운데 허리가 잘록한 오동나무통 양쪽에 가죽을 대고 조임줄로 조여 만든 타악기입니다. 관현합주나 독주 등 대부분의 음악에서 장단용으로 사용되지만 “장구춤” 등 무용에도 사용됩니다.
국립국악원의 좌고국립국악원
좌고
좌고는 낮은 북틀에 매달린 북통을 북채로 쳐서 소리 냅니다. 관현합주 또는 삼현육각편성의 연주에 사용되며, 장구의 합장단이나 북편 연주에 음량을 강화하기 위해 편성됩니다.
국립국악원의 편종국립국악원
편종
편종은 2단의 나무틀에 매달린 16개의 종을 각퇴(나무막대 한쪽 끝에 소뿔을 달아 만든 채)로 쳐서 소리를 냅니다. 16개의 종은 16음을 내며 종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은 음을 냅니다.
국립국악원의 편경 연주 모습국립국악원
편경
편경은 2단의 나무틀에 매달린 ㄱ자모양의 16개 경석(옥돌)을 각퇴로 쳐서 소리 냅니다. 16개의 경석은 16음을 내며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은 음을 냅니다.
National Gugak Center의 소리북 연주모습국립국악원
소리북
소리북은 울림통에 댄 가죽을 북채로 쳐서 소리 냅니다. 사물놀이악기에 쓰이는 북과 달리, 북통 양편의 가죽을 줄로 엮는 대신 놋쇠못을 박아 고정시켜 만듭니다.
○ 기획 및 편집: 국립국악원 국악아카이브
○ 참고자료:「국악기는 내친구」 (국립국악원, 2015)